부모의 사교육비 지급 능력에 따라 자녀 의 학업 성적이 큰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 과가 나왔다. 반면 부모의 높은 학력은 자녀 의 성적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경제력이나 사회계층이 낮으면 시간이 갈수록 자녀의 학업성취도 가 개선될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 됐다. 이는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이 약 화하는 것으로 사교육 비중을 줄이고 공교 육을 강화하는 쪽으로 교육정책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 태진단 및 대응방안Ⅱ'연구보고서(책임연구 자 여유진•정해식 등)를 보면, 부모의 학력 은 기대만큼 자녀의 학업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부모가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질수록 학업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의 정 도는 젊은 세대로 갈수록 낮아졌다. 그 대신 모든 연령집단에서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사회계층수준과 사회적 자본이 학업성적에 유의한 영향력을 줬다. 특히 그 영향 정도는 젊은 세대일수록 더 커졌다. 자녀의 학업성적에서 부모학력의 영향력 은 줄어들지만, 부모의 사회계층과 사회적 자본으로 대변되는 가족의 배경은 더 큰 영 향을 주는 것이다. 이는 연령대별로 부모의 학력수준과 사 회계층,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적에 끼 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19~65세 경제활 동참여자를 청년층(19~34세), 중장년층 (35~49세), 고령층(50~65세) 등 3세대로 나눠 각 세대의 15세 무렵 학업성적 분포 (성적 최하위-하위-중위-상위-최상위)를 분석한 결과다. 분석결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경제적 보상수준이 매우 높은 집단 에서 자녀의 학업성적이 최하위인 비율은 고령층 1.4%, 중장년층 17.7%, 청년층 8.2% 등으로 중장년층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가 청년층에서 다시 감소했다. 또 부모의 경제적 보상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에서 최상위 학업성적을 보이는 자녀의 비율도 고령층 29.5%, 중장년층 49.1%, 청 년층 12.6%로 중장년층에서 급증했다가 청 년층에서 뚝 떨어졌다. 젊은 세대로 갈수록 부모의 경제력이 자 녀의 교육성취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뜻 이다. 부모의 사회계층 수준별 자녀의 학업성적 분포를 보면, 부모의 사회계층이 가장 낮은 하층집단에서 최상위 성적을 가진 자녀의 비율은 고령층 10.7%, 중장년층 8.4%, 청년 층 6.0% 등으로 나이가 젊어질수록 줄어들 었다. 부모의 학력수준이 전문대졸 이상으로 높은데도 자녀의 성적이 하위와 최하위라 고 응답한 비율은 고령층 1.9%, 중장년층 4.2%, 청년층 10.8% 등으로 나타나 젊은 세대로 올수록 부모의 학력이 자녀의 학업 성취에 끼치는 영향이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런 분석결과는 사교육의 영 향력이 큰 우리나라에서 사교육비를 부담할 부모의 사회경제적 능력의 차이에 따라 학 업성취의 격차가 더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따라서 교육이 계층이동의 사다 리 역할을 할 수 있게 사교육 기회의 격차 를 줄이는 방향으로 저소득 학생에 대한 교 육비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 다. 또 대학입학 등에서 소수자 배려 정책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정책을 평준화 위주로 전환하고 공교육을 더 강화해 사교 육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연구진은 강조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