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네이버톡톡
맨위로


 

밥이 곧 하늘이요

등록일 2008년01월07일 10시58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뉴스일자: 2008-01-07
 

‘밥이 하늘’(1975년)이라고 한 사람은 시인 김지하였다. 그는 ‘하늘을 혼자 못 가지듯 밥은 서로 나눠 먹는 것이고 하늘의 별을 함께 보듯 밥은 여럿이 갈라 먹는 것’이라면서 독점경제에서 소외된 민중을 대신해 ‘밥을 나눠 달라’고 외쳤다. 1980년대 노동운동의 상징이던 시인 박노해는 ‘밥줄이 하늘’이라고 했다. ‘우리 세 식구 밥줄을 쥐고 있는 사장님도 하늘이요, 프레스에 찍힌 손을 붙일 수도 병신을 만들 수도 있는 의사 선생님도 하늘’이라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푸른 하늘이 되는 그런 세상’을 꿈꿨다.

▷산다는 것을 한마디로 줄이면 밥을 먹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삶이 힘겹다는 것은 밥 벌어 먹고사는 일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가난하던 시절에는 배고파 죽는 일도 흔했다. 오죽했으면 시인 김영석은 ‘밥을 보면 무덤이 생각난다’고 했을까. ‘소학교 마을 뒷산의 한 무덤 앞에는/무덤 모양 동그랗게 고봉으로 담은/흰밥 한 그릇이 놓여 있었다/지난해 흉년에 굶어죽은 이의/무덤이었다.’(‘밥과 무덤’)

▷밥은 ‘인륜의 기초이며 사유(思惟)의 토대’(소설가 김훈)이니 밥 앞에서 까불면 안 된다. ‘아무리 세상이 변하고 좋아져도 사람은 밥을 먹어야 살 수 있고 첨단 정보와 컴퓨터가 시대를 끌어간다 해도 누군가는 비바람치고 불볕 쬐는 논밭을 기며 하루 세 끼 밥을 길러 식탁에 올려야 한다’(박노해). 세상에는 밥보다 더 거룩하고 본질적인 것들도 있겠지만 밥 없이 그것보다 더 큰 것들을 이룰 수는 없다.

▷대통령 선거에서 ‘못 살겠다 갈아 보자’는 외침이 나온 게 1956년이다. 1인당 국민소득 400달러였을 때다. 50여 년이 흘러 2만 달러가 되었는데 다시 ‘못 살겠다 갈아 보자’는 민심이 야당 후보를 압도적 표 차로 당선시켰다. 진보니 분배니 자주니 평등이니 하는 선(善)한 말이 민중의 밥줄을 끊은 악(惡)이 된 데 대한 엄중한 심판이었다. 결국 ‘밥’(경제)이다. ‘밥이 곧 하늘(민심)’이요 시대정신이었다. 예수는 “밥이 더러운 게 아니라 말이 더럽다”고 했다.

말이 아닌 밥을 위한 정치가 열릴 건가.

<동아일보 허문명 논설위원>

김정훈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한인뉴스 필리핀뉴스 한국뉴스 세계뉴스 칼럼

포토뉴스 더보기

기부뉴스 더보기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