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청이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펼친 공로 를 인정해 서훈 대상자를 발표했지만 후손에 게 전달되지 않은 경우가 1천300여 명에 달합 니다. 독립운동가 후손찾기는 자신들의 조상이 모국의 독립운동에 헌신했다는 사실도 모른 체 살아가는 후손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는 일입니다." 국내 최대 재외동포 연구단체인 재외한인학 회의 2018∼2019년 회장으로 취임한 김재기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5일 연합뉴 스와의 인터뷰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지 70년이 지났음에도 아직 해외 독립운동가 에 대한 서훈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한인의 독립운동 연구 활성화를 위해서도 후손 찾기는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2년간 3차례 쿠바를 방문해 독립 유공자 후손 8명을 찾아냈고 이 중 3명에게 서 훈이 전달되도록 도왔다. 2월에도 학과 학생들 과 쿠바를 방문해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에 나 설 계획이다. 김 회장은 "쿠바의 경우 23명의 서훈자가 있는데 지금까지 후손에게 전달된 것 은 4건에 불과하다"며 "수교국인 멕시코의 경 우는 후손찾기가 더 쉬울 텐데도 46명 가운데 2명에게만 전달됐을 정도"라고 안타까워했다. 서훈이 전달되지 못한 사례는 중국과 러시 아가 제일 많고 그다음으로 미주 등이다. 김 회 장은 우선 해당 지역의 학회 회원들과 함께 후 손찾기를 여러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1988년 설립돼 올해 30주년을 맞는 재외한 인학회에는 미국·중국·일본·러시아·중앙아시 아 등 10여 개 국가의 한인 학자와 국내 학자 3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연례학술회의와 동포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특별학술회의를 5~6차례 열고 있으며 전국 규모 학술지인 '재 외한인연구'를 연 3회 발간한다. 김 회장은 학회의 30년 성과에 대해 "대학 에 재외동포 관련 학과 개설과 강좌 등이 생겨 나고 석·박사 학위 논문도 꾸준히 나오는 등 재 외동포를 학문의 한 분야로 끌어 올린 것"이라 며 "아직 위상은 미비하지만 정치학, 법학, 경제 학, 역사학, 문화인류학, 교육학 등 전통 학문과 의 융합이 활발히 전개되고 후배 학자들도 꾸 준히 배출되고 있어 학문적 위상은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지금까지의 연 구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점 검하기 위해 '재외한인연구 30년의 회고와 향 후 과제'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할 계획이 다. 올해가 대한민국 정부수립 70주년인 것에 맞춰 정치·경제 분야에서 재외동포의 모국 기 여를 주제로 한 포럼도 연다. 국내외 지회구축에도 나선다. 김 회장은 "각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열리는 학술 행사 등을 지원하고 공동 개최 등을 통해 지역별 네트워 크 활성화에 앞장설 것"이라며"호남·경기·충청· 경상지회와 미주·일본·중국 지회 등을 구축하 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평화통일에 대한 재외동포의 역할 모색, 세계한상네트워크 활성화, 재외선거와 차 세대 정치력 신장 등도 학회의 중점 연구 방향 으로 추진할 계 획이다. 김 회장 은 전남대 세계 한상문화연구단 기획연구실장으 로 재직하며 33 권의 재외한인총 서 발간을 주도 했고, 현재 대통령 직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 의 평화분과 상임위원, 국무조정실 국정평가전 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북한연구학회 부 회장·한국정치학회 북한통일분과위원 등을 맡 고 있다. 지난해 학회는 재외동포재단과 공동 으로 국내외 동포 분야 연구 학자들과 시민단 체 활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세계한인학술대 회'를 개최했다. 김 회장은 "한민족 공동체 발 전방안을 모색하는 담론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이 대회를 정례화하는 데도 힘쓰겠다"고 포부 를 밝혔다.